Almaty, Kazakhstan, Muratbayeva str. 200, Tel.:+7 (727) 292 08 03, cks@ablaikhan.kz

2024년 11월 29일(금)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이하 카자흐 세계언어대) 한국학센터는 제6회 한국학주간의 일환으로 제9회 CIS 대학생 및 대학원생 한국학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학술대회는 학문후속세대양성과 학술교류활성화를 통한 한국학 기반강화를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에서 후원하였다. 이번 학술대회는 카자흐 세계언어대, 카자흐 국립대, 카자흐 국립사범대, 슐레이만 데미렐대, 유라시아 국립대, 나자르바예프대, 코르키트 아타대, 타라즈 주립대, 동카자흐대(이상 카자흐스탄), 중앙아시아 한국대(키르기스스탄), 바쿠 국립대(아제르바이잔), 일리아 국립대(조지아) 등 4개국 8개도시 13개 대학에서 22개팀 32명의 학생이 참가하였다.

1. 주누스 아시야, 이스칼리예바 알리야, 리스쿨로바 빌로라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4학년). 한강 소설 <채식주의자> 러시아어 번역에 나타난 상징성과 은유

2. 쿠안 가우하르 (카자흐 국립대 석사 1학년). 외교 뉴스 텍스트 번역의 특수성: 문화적 뉘앙스와 실용적 전략

3. 아우예스 사말 (타라즈 주립대 석사 1학년). 고등교육에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기술 적용의 특징

4. 카나피야 쿤디즈, 사마르한 아셈굴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3학년). 무속의식의 기호학과 한민족의 상징

5. 이 안드레이 (중앙아시아 한국대 3학년). 대한민국과 중앙아시아 간 한국어 학습을 위한 교환학생시스템

6. 아흐메토바 라비가 (나자르바예프대 3학년). 북한 무력도발의 원인 분석 - 2015년 목침지뢰사건을 중심으로

7. 아우오바 자리나 (카자흐 국립사범대 4학년).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기 위한 필수: 한국어, 카자흐어, 러시아어 비교 분석

8. 아바소바 마리얌 (바쿠 국립대 3학년). 한국과 아제르바이잔 속담의 유사점과 차이점

9. 테네이시빌리 루수단 (일리아 국립대 3학년). 유라시아에서 한국 소프트파워의 영향력

10. 아이트자노프 루슬란, 구마르 아만, 무신 누르무하메드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3학년). 한국 뷰티 트렌드와 글로벌 뷰티 산업에 미치는 영향

11. 아나르베크 메디나, 유수포바 자네르케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2학년). 문화와 언어: 카자흐스탄의 문화 공간에 한국어의 통합

12. 바이무한 다나, 지옌바예바 알티나이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3학년).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와 둘라트 이사베코프의 <가우하르 타스>를 중심으로 한 현대 카자흐문학과 한국문학의 여성상 비교

13. 작실리크 누르자나트 (카자흐 국립대 석사 1학년). 한국의 인구위기 원인과 현황 및 정책적 대응 방안

14. 세르갈리 자지라 (코르키트 아타대 4학년). 조선 시대의 미술

15. 강 아델리나, 파노바 옐리자베타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3학년). 칸다족과 고려인: 정부 지원이라는 프리즘을 통한 사회 통합

16.주마바예바 누라임 (중앙아시아 한국대 3학년). 대한민국의 저출산과 그 원인

17. 알림베토바 말리카 (유라시아 국립대 3학년). 한국 속담의 의미: 한국어와 카자흐어의 비슷한 의미를 지닌 속담

18. 바자르베크 한자다 (슐레이만 데미렐대 4학년). 한국과 카자흐의 돌 잔치

19. 바라타시빌리 마리아미 (일리아 국립대 4학년). 경제 자산으로서의 문화유산: 경제 활성화를 위한 한국 전통 예술 형식의 역할

20. 아이도소바 아넬 (동카자흐대 4학년). 민족 문화의 가치를 구현하는 한국의 전통 명절

21. 카이르베코바 아루잔, 변 야나, 마루포바 아지자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3학년). 한국어 의성어와 의태어의 러시아어 번역

22. 사맛키지 아루잔 (카자흐 국제관계 및 세계언어대 3학년). 한국어에서 러시아어, 카자흐어로의 교육 번역 사례를 활용하여 상황을 설명하는 수준의 동등성

Copyright CANKS 2016. All rights reserved.

Go to top Яндекс.Метрика